달에 남겨진 발자국 왜 아직도 그대로일까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이후 우주비행사들이 남긴 발자국은 지금도 그대로 남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라면 비나 바람, 시간의 흐름으로 금세 사라졌겠지만, 달에서는 다르죠. 이 글에서는 왜 달의 발자국이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지워지지 않는지, 그 과학적 배경과 달 환경의 특징에 대해 설명합니다.

달에는 바람도, 비도 없다

달에는 대기가 없습니다. 대기가 없다는 건 곧 바람도, 비도 없다는 뜻입니다. 지구에서는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면 흙이 날리고 형태가 바뀌죠. 하지만 달 표면에서는 이런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 번 생긴 발자국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달의 흙, ‘레골리스’가 특별한 이유

달의 표면을 덮고 있는 흙은 ‘레골리스(regolith)’라고 불립니다. 이 흙은 미세한 입자로 되어 있지만, 마치 정전기처럼 달라붙는 성질이 강해 발자국 모양이 그대로 고정되기 쉽습니다. 또한 마찰력이 높아 형태가 잘 무너지지 않는 특성도 있습니다.

달에는 자연적인 마모 현상이 거의 없다

지구에서는 침식, 풍화작용, 생물 활동 등이 지형을 끊임없이 바꿉니다. 하지만 달은 이런 지질 활동이 거의 없습니다. 화산도 없고, 강수도 없으며, 동식물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남긴 자취가 수십 년간 그대로 남아 있는 거죠.

다만, 유일한 변수는 ‘운석’이다

달 표면에서 발자국을 지울 수 있는 유일한 자연 요소는 ‘미세 운석 충돌’입니다. 달은 대기가 없어 우주에서 날아오는 작은 운석들이 그대로 표면에 충돌합니다. 하지만 이 빈도는 낮고, 충돌 범위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1969년에 남겨진 발자국 대부분은 아직까지도 그대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NASA가 남긴 흔적, 과학적 자산으로 활용된다

NASA는 아폴로 미션 당시 달에 여러 실험 장비와 깃발, 반사판 등을 설치했습니다. 이런 유물들은 현재까지도 과학적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달 탐사 로봇들이 해당 위치를 찾아가며 상태를 점검하기도 합니다. 즉, 단순한 발자국이 아니라 우주 탐사의 흔적이자 역사이기도 합니다.

마무리하며 – 시간조차 멈춘 듯한 달의 기억

달에 남겨진 발자국은 단순한 흔적이 아니라 우주에 인간이 처음으로 발을 디딘 그 순간을 간직하고 있는 상징입니다. 지구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시간이 정지된 공간’이라는 점에서 달의 고요함과 신비로움을 더욱 느끼게 해주는 요소이기도 하죠.

댓글 쓰기